| 카메라추적 시스템
화상회의 또는 원격강의에 사용하는 카메라추적시스템이란 크게 3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마이크추적방식 : 마이크의 ON/OFF 신호를 인식하여 화자를 추적하는 방식
모션인식추적방식 : 화자의 모션을 인식해서 추적하는 방식
적외선 목걸이 추적방식 : 적외선 센서가 내장된 목걸이를 이용하여 추적하는 방식
![]()
| 카메라추적의 필요성
화상회의
가까운 거리에서 얼굴을 보면서 회의를 진행하는 경우 사람의 표정 및 입모양등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진행할 수 있으나 중대형 회의실에서 진행하는 화상회의 경우 화면을 통해서 상대방을 보기 때문에 화면상에서 누가 말을 하는지 말하는 사람을 잘 확인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때 말하는 화자를 클로즈업해서 화상회의를 진행할 수 있다면 원할하고 효율적인 회의의 진행이 가능합니다.
통상 중대형 회의실에서 화상회의를 하는 경우 사용하는 마이크의 ON/OFF 신호를 확인해 자동으로 화자를 클로즈업하는 시스템을 많이 사용합니다.
![]()
원격강의
원격강의를 진행하는 경우 주로 강의를 진행하는 강의자를 고정되어 있는 카메라 및 캠코더 또는 PTZ 카메라 리모콘을 이용하여 조작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강의자는 한자리에서 강의를 진행하지 않고 전자교탁과 칠판 등을 오가면서 강의를 진행하게 되는데 움직임이 있을때 마다 수동으로 조작하게 되면 효율성이 많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때 강의자의 움직임을 모션인식 방법이나 적외선 센서가 내장된 목걸이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추적하는 카메라를 사용하게 된다면 효율적인 강의의 진행이 가능하게 됩니다.
1명의 움직임만을 추적하면 되는 원격강의 경우 주로 모션인식방식의 추적카메라를 많이 사용하며 모션인식에 부적합한 강의실 환경이나 3차원적인 움직임이 많이 요구되는 강의의 경우 적외선 센서 방식의 목걸이 타입의 추적카메라도 사용됩니다.
![]()
| 카메라추적 방식
회의용마이크 화자추적
개별 마이크 ON/OFF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회의용마이크를 이용하여 화자추적을 구현합니다. 자사의 카메라추적컨트롤러인 LC-390R / LC-390S 와 유/무선 회의용마이크시스템이 연동하여 화자추적이 가능합니다.
![]()
![]()
![]()
로직형마이크 화자추적
로직출력을 지원하는 마이크를 이용한 화자추적을 구현합니다. 자사의 로직마이크컨트롤러인 AD-8500과 카메라추적컨트롤러인 LC-390R / LC-390S 와 연동하여 화자추적이 가능합니다.
로직출력 지원 마이크 : Audiotechnica U891RCb / AT8657LED, Shure MX418DC / MX412DC / MX393C
![]()
![]()
![]()
모션인식 화자추적
화자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화자추적을 구현합니다. 모션추적형 카메라와 자사의 Cam-Motion 시스템을 이용하여 모션분석 화자추적이 가능합니다.
강의실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움직임을 분석하는 센서 카메라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모션추적카메라 방식과 센서카메라와 추적카메라를 별도로 사용하는 모션추적시스템이 있습니다.[모션분인 화자추적 방식은 강의실의 강의자등 1인 추적 방식입니다]
![]()
적외선 목걸이 화자추적
강의실의 형태 및 강의 타입에 따라 모션인식 화자추적이 아닌 적외선 목걸이 타입의 화자추적방식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적외선 목걸이 화자추적은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는 화자만 추적하는 방식으로 복잡한 강의실이나 강의실 전체를 이동하면서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 형태에 최적화된 화자추적 방식입니다.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는 화자의 움직임에 따라 2차원 / 3차원 적인 움직임에 대응하여 추적이 가능합니다.
![]()